티스토리 뷰

alert('~~~')

~~~를 js code 형태로 받아들여 경고문으로 표시

작은따옴표로 묶이면 문자열 처리가 된다.

 

자바스크립트의 메소드는 후첨되는 닷~~의 형태 ex)str.length

Mozilla가 잘 정리되어있다.

변수 선언은 var 앞에 붙여줌

 

html은 structure, 정적인 골격

이를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javascript

외형을 결정하는 것이 CSS

 

잠시 CSS...

style 은 html의 문법이나 CSS 형태로 적용시켜줌

color, background-color등등은 property

 

div 태그 : 어떠한 의미도 기능도 없으나 CSS를 통해 해당 값을 제어하고싶을 때 감싼다. 줄바꿈됨

span 태그 : 줄바꿈 ㄴㄴ인 div

이렇게 묶고 style을 적용시키면 해당 부분만 적용되겠지

style 태그 내에 class를 선언 가능한데, .classname { } 의 형태임 저 대괄호 안에 내가 주고싶은 프로퍼티를 기재한다.(ex3 참고)

id(identify) 선언은 #idname { }의 형태. id는 왜 쓰이는가?

class는 그룹짓는 것들을 묶어 선언한다면, id는 고유식별자. 따라서 class는 더 포괄적으로 적용. 광범위한 그룹 적용의 개념

id는 그렇기에 더 우선적으로 적용되는 것임. 그림 그릴때 class 상위의 투명도 0% 레이어라고 생각하면 좋을듯.

class보다 하위 개념의 레이어? 는 span이겠지? 따라서 span 대괄호 하고 프로퍼티를 입력해도 해당 블럭이 class로 주어진 값이 충돌한다면 class의 값이 적용되며, id까지 적용되어있다면 id의 property가 적용된다는 것

 

queryselector?

이런건 MDN을 찾아볼것

 js로 html을 변경할때 쓰이는 스크립트

형태는 element = baseElement.querySelector(selectors);

selectors와 일치하는 baseElement(주로 document?)의 자손의 element를 가져온다. 

 

 

 

 

'■ FE 로드맵 > ◻ WEB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로 html과 상호작용하기  (0) 2022.07.27
MySQL 겅부  (0) 2022.07.21
javascript 백준 기초  (0) 2022.07.20
Node.js 겅부  (0) 2022.07.13
CSS 겅부  (0) 2022.07.1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