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element) => { } 처럼 중괄호를 쓰게 되면, return으로 값을 직접 반환해야 하며,

(element) => () 처럼 소괄호를 쓰게 되면, 알아서 내부 도출 값이 return된다.

 

2. 

html에서 id값을 가져올 경우에 string으로 가져온다 그게 설령 숫자로 구성되어있어도.

생각해보면 당연하다. id값으로는 문자도 되는판에 숫자로 가져올리가 없잖아.

코드 작성할때 이거 정말 조심해야겠다... 

 

3. 

여태 배열의 모든 요소에 접근할때 for(a in b) 등의 요소를 썼는데, 

foreach로 가능하다.

arrayname.foreach(element => ) 으로 해당 array의 모든 element마다 주어지는 함수를 실행한다.

 

4. 

배열의 값을 수정해야 할 때 filter가 좋아보임.

기존에 쓰던 indexof나 splic는 해당 요소의 index값이 필수였는데, filter를 통해 직접 값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arrayname.filter(element => ) 의 구조로, 해당 array의 element마다 주어지는 함수를 실행해 나오는 값이 true라면 해당 값을 넣고, false라면 해당값을 빼서 새로운 array를 생성한다. 

기존 array를 수정하고 싶다면 arrayname = arrayname.filter(fliterfunction) 으로 하면 되겠지? 다만 해당 array는 const가 아닌 let이어야 할 것.

'■ FE 로드맵 > ◻ WEB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I 사용해보기  (0) 2022.07.29
javascript에서 html을 추가하기  (0) 2022.07.28
웹이 사용자의 정보를 기억하게 하기  (0) 2022.07.28
html element를 안보이게 하기  (0) 2022.07.28
Cleaning Code Tip  (0) 2022.07.2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